서울대 시국 대자보
지적허영과 환상에 빠진자들
https://m.blog.naver.com/raymunds/221091694589
대한민국을 수렁으로 빠뜨리지 말길
2017년 9월 8일 금요일
2017년 5월 21일 일요일
문재인
이미지 메이커.
민주당 당원 이자
대한민국 대통령
사람들의 생각을 획일화 시키는 집단.
사람들의 눈을 가려버리는 집단.
과연 이 사람들, 이 집단의 목적은 무엇인지
큰뜻이 있는건가? 대의가 있는건가?
목적은 그리 긍정적이진 않을것 같다.
그들이 하는 결정, 행동이 결과적으로는 대한민국을 넘어 한민족에 긍정적이길..
박근혜 처럼.
민주당 당원 이자
대한민국 대통령
사람들의 생각을 획일화 시키는 집단.
사람들의 눈을 가려버리는 집단.
과연 이 사람들, 이 집단의 목적은 무엇인지
큰뜻이 있는건가? 대의가 있는건가?
목적은 그리 긍정적이진 않을것 같다.
그들이 하는 결정, 행동이 결과적으로는 대한민국을 넘어 한민족에 긍정적이길..
박근혜 처럼.
2017년 2월 7일 화요일
[Android] 카카오로그인(Kakao Login)시 별도(Custom) 로그인버튼(Button) 사용하기
1. 카카오 로그인 버튼 클래스를 상속받는 로그인 컨트롤 클래스 생성
------------------------------------------------------------------------------------
------------------------------------------------------------------------------------
2. 커스텀 버튼(btn_custom_kakao_login) 클릭 이벤트에 컨트롤(KakaoLoginControl) 연결
------------------------------------------------------------------------------------
음.. 그리고 버튼 디자인은 최대한 카카오 디자인을 유지해야된다고 함..
KakaoDevelopers 관련답변 : https://devtalk.kakao.com/t/topic/7553
카카오로그인 버튼 가이드 : https://developers.kakao.com/buttons
테스트버전 : android lib - 1.1.33 API
------------------------------------------------------------------------------------
package com.neutti;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com.kakao.auth.AuthType;
import com.kakao.auth.Session;
import com.kakao.usermgmt.LoginButton;
import java.lang.reflect.Method;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KakaoLoginControl extends LoginButton {
public KakaoLoginControl(Context context) {
super(context);
}
public void call() {
try {
Method methodGetAuthTypes = LoginButton.class.getDeclaredMethod("getAuthTypes");
methodGetAuthTypes.setAccessible(true);
final List<AuthType> authTypes = (List<AuthType>) methodGetAuthTypes.invoke(this);
if(authTypes.size() == 1){
Session.getCurrentSession().open(authTypes.get(0), (Activity) getContext());
} else {
Method methodOnClickLoginButton = LoginButton.class.getDeclaredMethod("onClickLoginButton",List.class);
methodOnClickLoginButton.setAccessible(true);
methodOnClickLoginButton.invoke(this,authTypes);
}
} catch (Exception e) {
Session.getCurrentSession().open(AuthType.KAKAO_ACCOUNT, (Activity) getContext());
}
}
}
2. 커스텀 버튼(btn_custom_kakao_login) 클릭 이벤트에 컨트롤(KakaoLoginControl) 연결
------------------------------------------------------------------------------------
------------------------------------------------------------------------------------findViewById(R.id.btn_kakao).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onClick(View view) { new KakaoLoginControl([해당 Activity]).call(); } });
음.. 그리고 버튼 디자인은 최대한 카카오 디자인을 유지해야된다고 함..
KakaoDevelopers 관련답변 : https://devtalk.kakao.com/t/topic/7553
카카오로그인 버튼 가이드 : https://developers.kakao.com/buttons
테스트버전 : android lib - 1.1.33 API
2017년 1월 27일 금요일
대선주자 안희정
한명의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편지를 쓰고 싶습니다.
지금이 17년1월 한달전(작년?)하고 많이 달라졌습니다.
사람들 입에 좀더 오르내리고 온라인 상에도 많이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초긍정적으로
기분이 좋습니다. 저의 일인마냥.
안지사님의 생각이나 토론모습을 보면 제가 대변받고 있다는 느낌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중간을 싫어하는것 같습니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언제나 파이팅하죠. 특히나 정치얘기가 나온다면.. 또한 언제나 적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더 큰 힘이 있다는것 아실겁니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는것..
그들은 목소리 큰 사람들에 가려집니다.
안지사님은 목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의 두터운 지지를 받으실수 있을거 같습니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기 목소리를 한번 내봐~ 하고
속삭이는것 같습니다. 누군가의 목소리를 따라하지 말고 그냥 그대의 목소리를 내봐~ 하고.
저는 나름 중간입장을 고수 해왔습니다. 그리고 종종 목소리를 냅니다. 중간입장으로써... 대부분의 것을 포용하는 방식으로.
그게.. 가끔 주위사람들에게 조롱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어린아이 같다고도 하고. 아직 세상 덜 살았다고도 하고.. 결과적으로 목소리 큰 집단에서 누구의 편도 되지 못하더군요.
가끔은 그런 발언을 하는 저를 신선하게 바라보는 사람이 있긴합니다. 그럴땐 좀 으슥하죠.
어떤때는 정말이지 제가 한쪽으로 치우쳐 발언하는 사람들에게 하고싶은 말인데 저보고 다른사람 생각은 무시한다고 합니다. 그런거.. 아니지 않습니까.
전.. 이런부분이 정말이지 답답했습니다. 진보,보수 - 가진자,없는자 - 여자,남자 - 남,북 - 젊은이,늙은이 등등등... 의 가치가 무엇이기에 맞은편 혹은 생각이 다른자를 부정하려하고.. 깍아내리려하고.. 하는지..
저도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국민여러분" 이지만은 이런부분에서 만큼은 감히.. 참으로 답답합니다.
그들의 생각이란것이.. 스스로의 고민과 복합적인 사고를 통해 나온것이 아닌 더 목소리 큰사람의 생각을 그대로 따라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 중요한건 따라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더 목소리 큰사람이 명예심이 없는 사람 혹은 부류라는 겁니다.
부디 이번 대선을 통해 가볍지 않고 명예심이 있고 복합적인 사고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그런 지도자를 볼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러면.. 아마 저는 더이상 세상 물정 모르는 어린아이가 아니게 될겁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을 겁니다.
그분들과 함께 지지해 드립니다.
이하응, 안중근, 김구,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김대중, 박근혜,... 등등
좋든싫든 대한민국의 역사이죠. 다 그시대, 그시점에 필요한 인물들 이기에 존재하는 분들이죠.
전.. 사람들이 비판은 할지언정 부정은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억지논리 끼워 맞추면서..
지금 이시대에 필요한 지도자가 되어주세요.
또 다시 날씨가 추워질 때 "대통령 안희정"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되길..
지금이 17년1월 한달전(작년?)하고 많이 달라졌습니다.
사람들 입에 좀더 오르내리고 온라인 상에도 많이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초긍정적으로
기분이 좋습니다. 저의 일인마냥.
안지사님의 생각이나 토론모습을 보면 제가 대변받고 있다는 느낌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중간을 싫어하는것 같습니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언제나 파이팅하죠. 특히나 정치얘기가 나온다면.. 또한 언제나 적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더 큰 힘이 있다는것 아실겁니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는것..
그들은 목소리 큰 사람들에 가려집니다.
안지사님은 목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의 두터운 지지를 받으실수 있을거 같습니다.
목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기 목소리를 한번 내봐~ 하고
속삭이는것 같습니다. 누군가의 목소리를 따라하지 말고 그냥 그대의 목소리를 내봐~ 하고.
저는 나름 중간입장을 고수 해왔습니다. 그리고 종종 목소리를 냅니다. 중간입장으로써... 대부분의 것을 포용하는 방식으로.
그게.. 가끔 주위사람들에게 조롱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어린아이 같다고도 하고. 아직 세상 덜 살았다고도 하고.. 결과적으로 목소리 큰 집단에서 누구의 편도 되지 못하더군요.
가끔은 그런 발언을 하는 저를 신선하게 바라보는 사람이 있긴합니다. 그럴땐 좀 으슥하죠.
어떤때는 정말이지 제가 한쪽으로 치우쳐 발언하는 사람들에게 하고싶은 말인데 저보고 다른사람 생각은 무시한다고 합니다. 그런거.. 아니지 않습니까.
전.. 이런부분이 정말이지 답답했습니다. 진보,보수 - 가진자,없는자 - 여자,남자 - 남,북 - 젊은이,늙은이 등등등... 의 가치가 무엇이기에 맞은편 혹은 생각이 다른자를 부정하려하고.. 깍아내리려하고.. 하는지..
저도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국민여러분" 이지만은 이런부분에서 만큼은 감히.. 참으로 답답합니다.
그들의 생각이란것이.. 스스로의 고민과 복합적인 사고를 통해 나온것이 아닌 더 목소리 큰사람의 생각을 그대로 따라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 중요한건 따라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더 목소리 큰사람이 명예심이 없는 사람 혹은 부류라는 겁니다.
부디 이번 대선을 통해 가볍지 않고 명예심이 있고 복합적인 사고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그런 지도자를 볼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러면.. 아마 저는 더이상 세상 물정 모르는 어린아이가 아니게 될겁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을 겁니다.
그분들과 함께 지지해 드립니다.
이하응, 안중근, 김구,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김대중, 박근혜,... 등등
좋든싫든 대한민국의 역사이죠. 다 그시대, 그시점에 필요한 인물들 이기에 존재하는 분들이죠.
전.. 사람들이 비판은 할지언정 부정은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억지논리 끼워 맞추면서..
지금 이시대에 필요한 지도자가 되어주세요.
또 다시 날씨가 추워질 때 "대통령 안희정"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되길..
2017년 1월 6일 금요일
[역사] 안타까운 로힝야족 사태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589648.html
http://www.newsquare.kr/issues/583
참 안타깝고 복잡하다.
로힝야족 사태를 접하면 제3자의 입장에서 감히 감놔라 배놔라 뭐라뭐라 할수 없다..
확실한건. 단순 휴머니즘으로 접근할수 없다는것..
대부분의 국가, 민족은 비슷한 경험을 역사의 한페이지로 가지고 있다는것, 그것이 비극적 역사이든 영광스런 역사이든.
종교간. 민족간의 대립을 현명치 못한 정책으로 해결할경우 한 국가의 명운이 바뀔수도 있다는것.
마지막으로 정답은 없다는것.
아웅산수지란 분은 잘 모르지만.. 세계적인 유명인사이고 지금 버마의 수장으로 있으니.. 현명하게 잘 풀어내길 기대하고 싶다.
- 몽골에 끌려갔다 돌아온 환향녀.... (그냥 눈물만...)
- 친일파 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것은 악순화의 고리?
- 박정희(친일?) 정권의 화교자본 억제 정책은 신의한수?
- 역사는 결과론적인건가??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