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20일 일요일

2020년도 이렇게 끝나가네

인생에 굵직굵직한 일들이 참 많았던 21C 10년대. 가 끝나가네. 나의 30대도 끝나가고.

뭐 1년은 더 남았지만.. 친구들이 40이니...

할머니도 가시고.. 고모 할머니도 가시고..

그래도 평범하게 살수 있었던거 같아 다행이다. 

싸우기도 많이 싸웠지만 내편도 만나고 내 핏줄도 생기고 집한칸 마련하고 사무실 마련하고. 

다시 누군가와 가정을 꾸리라하면 못할거 같다. 서로 이해하고 인정해가는 과정이 너무 힘들다.

그 과정이 지나면 넉넉한 사고방식의 여유가 찾아오긴 하지만..  

평생동반자 할꺼면 서로 편한게 제일인듯

지나온 30대... 몸이든 맘이든 참 넉넉해지긴 했다. 나름 만족한다. 

어느날엔가 아쉬움이 가득했던 분께 연락받아 일도 같이 하고 있고..

연락은 거의 않하지만... 너무 정치성향이..... 

그래도 항상 마음 한켠에 네임벨류가 있는 회사의 구성원이 되지 못한건 아쉬움으로 남아있다..

이젠 가지도 못해. 나이들어 차피 가기도 힘들고. 

간다해도 어설프게 월급받아봤자 지금의 방식으로 버는 수입보다 덜하고..

생각해보면 객관적으로 이름있는 개발회사 직원들 보다.. 

금전을 더 요구하지도 않았을거고 시간적으로나 퀄리티는 더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는데..

이걸 표현을 하지도 못했고 하는 방법도 몰랐던거 같다.

지금도 모르지.. 일단 한번 경험하도록 해봐야......ㅜ.ㅜ

쨌든 OK. Ordinary 10 years!!

40의 시작을 오너로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은 만들었다. 

감사합니다.

직원으로써의 20대

하청으로써의 30대

수장으로써의 40대를 보내고 싶지만.. 

프리랜서 하라면 하고. 육아에 전념하라면 하고.

이래저래 깜깜한 앞날은 보이지 않는게 무척이나 고맙고 다행이다.

60대에는 퀀텀점프된 인공지능 하나 만들어야지?? 꼬맹이와함께^^

I Like Black $.$

 Black

간만에 바꿔보네 ~.*

2020년 3월 2일 월요일

@MapperScan 또는 MapperScannerConfigurer 에서 annotationClass 지정이 되지 않을때(not work)


SpringBoot 에 MyBatis 설정시

SpringBoot 버전에 따라 되는 경우가 있고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No MyBatis mapper was found in '[com.neutti]' package. Please check your configuration.

이런 메시지가 나오면서 Mapper Scan에 실패한다.

단 기본 애노테이션인 @Mapper 인 경우 정상 작동한다.

SpringBoot 버전이 상위버전일 경우가 안되기 때문에 해결을 하고 지나가야된다.

이유는 애노테이션 인터페이스 선언 문제인듯 한데.


/** * database.base 매핑 */
public @interface BaseMapper {
}

에서

/** * database.base 매핑 */
@Documented
@Inherited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Target({ ElementType.TYPE, ElementType.METHOD, ElementType.FIELD, ElementType.PARAMETER })
public @interface BaseMapper {
}

이런식으로 선언해주면 잘 작동한다.

도대체 이유를 알수 없어... 혹시나 해서 @Mapper 선언부분을 확인해서 동일하게 만들어주니 무사통과...

아무래도 마이바티스가 스프링과는 한몸이 아니기때문에 설정시 이런저런 오류가 나오는데

경고 메시지가 친절하진 않다.. 혹시 설정이 의도한대로 되지 않는다면 버전 체크도 하고 넘어가야 할듯

https://mybatis.org/spring-boot-starter/mybatis-spring-boot-autoconfigure/


2020년 2월 20일 목요일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대신 Spring Boot 를 써야하는 이유?

우리나라에서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https://www.egovframe.go.kr/) 라는 개발환경을 정보화진흥원에서 국가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다.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은 Springframework 기반이다.

왜 만들었을까? 좀더 쉽게 개발하고 표준을 제시하여 유지보수 인력이 바뀌어도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Spring Boot 가 더 쉽다.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설계되고 만들어질때와는 상황이 다르다.
난립하던 웹개발 방식이 스프링으로 거의 통일화 되었고. 버전업도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아니라고 할 사람도 이겠지만 사실상 Springframework 에 종속적인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언젠가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도 Spring Boot 환경을 적용할 것이고.

공공기관의 경우 과업지시서에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꼭 써라 딱 적혀있지 않은 경우 새롭게 시작하는 프로젝트에 무엇을 써야될지 고민하는것은  우둔한 고민일뿐.

혹여나. 개발진 개발역량이 안된다고 해서 그렇다면 정말 핑계
시간이 촉박해서 라면 그냥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하루만 사용해보고 판단해도 늣지않다.


그냥 쉽다.  편하다.

이정도 변화가 두렵다면.. 개인이든 회사든 고민을 많이 해보자...
신기술도 아니다. 보편화 되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현시점에도 많은 업체와 그안에 속한 사람들이 이글의 타이틀과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는게 안타까워 글을 남기고 있다.


웹개발에서 Java 의 점유율은 계속 하락세이다.
그정도 사용됐으면 됐다. 영원은 없으니 변하지 않는게 가장 무서운것 아닌가?
필요에 의해 가장 알맞는 개발 툴 과 언어를 그리고 프레임웍을 사용하면 된다.
간단한 로직의 웹개발라면 Nodejs 를 사용하는것도 나쁘지 않다.

트랜드를 따라가는게 가장 안정적인 방식이다.
고민하는 이유가 실험적이라는 이유로 고민하고 있는게 아닌가?
더이상 늦지 말고 테스트라도 해보자.

지름길을 만들어 줬는데 내 발자국이 남아있다고 계속 우회해서 먼길 돌아가는 상황이다.
발자국은 또 찍으면 되지. 발자국 찍는게 어려운게 아니다.

2020년 1월 23일 목요일

모르지만 아는척

일반인이 검찰 대면할 경험이 얼마나 되나?

평생에 1번, 2번이면 많은거 아닌가?

근데 뭐 검찰집단에 대해 그리 잘아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나...

검찰 가장많이 마주하는 인간들이 누굴까.

정치한다는 인간들이겠지.

과거, 진행형인 죄목들 드러날까봐 겁나겠지. 드러나서 정치질 못할까봐

참.. 누구의 어느집단의 작품인지 사람들 머릿속을 조종하는게 대단하다.. 정말.